본문 바로가기
정보

보일러 온수 안나옴 뜨거운물 안나올때

by ★★★★☆ 2025. 2. 7.

보일러는 대부분 베란다에 설치하죠. 그래서 겨울만 되면 컨트롤러에 에러 코드가 뜨거나 보일러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죠. 오늘은 보일러 온수 안 나옴 뜨거운 물 안 나올 때 해결 방법을 준비했어요.

 

 

보일러 온수 안나옴

보일러 온수가 안 나오는 이유는 정말 다양해요. 크게 분류해 봐도 10가지가 넘는데요. 범위를 조금 더 좁혀보면 ⓐ계절(겨울), ⓑ상황, ⓒ고장으로 분류할 수 있어요. 이 글은 ⓐ겨울에 보일러 온수(뜨거운 물)가 안 나올 때를 위해 작성된 글이에요.

ex) 온수를 틀었는데 뜨거운 물이 안 나올 때, 난방은 되는데 온수가 안나옴, 뜨거운 물이 안 나오고 미지근한 물이 나옴, 온수 냉수 둘다 안나옴 등

겨울이 아니거나 ⓑ상황별과 ⓒ고장은 이전 글인 보일러 온수 안나올때 해결 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금 뜨거운 물이 안나오고 차가운 물만 나오거나 둘 다 안 나오는 이유를 먼저 말씀드리면 날씨 때문이에요. 해결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보일러 제조사에서 AS를 받거나, 직접 해결하는 거죠.

 

직접 해결하는 방법 알려드릴게요. 참고로 해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시간에서 3시간 사이입니다. 스스로 해결이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제조사별 보일러 고객센터에서 AS를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보일러 뜨거운 물 안 나올 때

보일러는 춥다고 무조건 어는 건 아니고요. 영하 10도 이하의 날씨가 2일 연속 지속되거나 바람이 아주 강하게 불 때 얼기 시작해요. 영하 15도 이하는 더 취약해지죠. 배관도 어디가 어떻게 얼었는지에 따라 다양한 상황이 발생돼요.

  1. 어제까지 잘 나오던 보일러 온수가 안 나옴
  2. 온수를 틀었는데 뜨거운 물이 전혀 안 나옴
  3. 뜨거운 물이 나오다가 안 나옴
  4. 뜨거운 물이 안 나오고 미지근한 물이 나옴
  5. 집안 전체에 온수와 냉수가 안 나옴
  6. 특정 구역에만 온수가 안 나옴

크게 나눠보면 6가지로 구분할 수 있어요. 이런 상황이 발생했다면 무조건 녹여야 해요. 보일러 배관은 절대로 스스로 녹지 않거든요. 무섭거나 귀찮아서 지금 녹이지 않으면 나중에 동파까지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글을 보면서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당장이요.

 

우선 준비물 안내해 드릴게요.

[준비물] 물, 수건(걸레), 아이스팩, 위생봉투, 옷, 담요, 전자레인지 또는 버너와 냄비

아이스팩은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크게 상관없어요. 자세한 내용은 수도 얼었을 때 언 수도 녹이는 방법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제 상황에 맞게 수도관 또는 보일러 배관을 녹일 거예요. 위 6가지 상황에서 나와 가장 비슷한 것을 찾아보세요. 녹이는 방법은 거의 동일한데 어디를 녹여야 하는지 알아야 하기 때문이에요.

 

 

1. 어제까지 잘 나오던 보일러 온수가 안 나옴

어제까지 잘 나오던 보일러 온수가 안 나온다면 다음 칸에 있는 5가지를 모두 체크해 보세요.

①온도 조절장치 ②보일러 밸브 ③온수 작동여부 ④냉수 작동여부 ⑤날씨

 

①온도 조절장치는 보일러 컨트롤러를 말합니다. 전원이 꺼지지 않았는지, 에러코드가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만약 이상이 있다면 본문 제일 아래에 있는 해결 방법을 참고하세요.

 

②보일러 밸브를 누군가 잠겄을 일은 거의 없지만 밸브는 배관과 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어야 해요. 세로(ㅣ) 방향이 열림, 가로(ㅡ) 방향이 잠김입니다.

 

③온수가 전혀 안 나온다면 "2번 온수를 틀었는데 뜨거운 물이 전혀 안 나옴"으로 이동하시고, 뜨겁진 않지만 나오긴 나온다면 "3번 뜨거운 물이 나오다가 안나옴" 또는 "4번 미지근한 물이 나옴"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④냉수도 체크해봐야 해요. 차가운 물도 안 나오면 정말 큰일이거든요. "5번 집안 전체에 온수와 냉수가 안 나옴"으로 이동하세요.

 

⑤어제와 오늘 날씨를 확인해 보세요. 어제저녁부터 오늘 새벽까지 영하 10도 이하의 날씨까 이어졌다면 보일러 배관 또는 수도관이 얼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요.

 

이런 상황들은 녹여야 해요. 녹이는 방법과 비용의 차이일 뿐 다른 방법이 없어요. 그럼 상황에 맞게 설명해드릴게요. 자세히 읽어보세요.

 

 

2. 온수를 틀었는데 뜨거운 물이 전혀 안 나옴

가스비 잘 내고 있고, 차가운 물 잘 나오고, 어제 이사한 거 아니고, 집을 오랜 기간 비운게 아니라면 뜨거운 물이 전혀 안 나온다면 배관이 얼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우선 냉수가 잘 나온다는 것은 수도관이 얼거나 동파되지 않았다는 뜻이기 때문에 천만다행이죠. 보일러 배관만 녹이면 되거든요. 보일러 배관은 끝부터 얼어요. 보일러에서 빠져나오는 그 부분이 가장 취약하기 때문이에요.

 

저는 전에 살던 집이 정말 취약했거든요. 겨울만 되면 수도관이 얼거나 보일러 배관이 얼어서 고생했었어요. 처음엔 돈을 주고 녹였는데 너무 아깝잖아요. 인터넷을 찾아보니 핫팩이나 귤껍질 이야기를 하는데 그게 되겠냐고요. 미리 말하지만 핫팩과 귤껍질은 전혀 도움이 안 됩니다.

 

여러 방법을 찾다 보니 빠르고 쉽고 안전한 방법을 찾게 되었는데요. 그 방법은 바로 수건과 전자레인지를 이용하는 방법이에요. 자세한 내용은 보일러 배관 녹이는 방법과 위치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어렵진 않아요. 혼자서 충분히 할 수 있는데 조금 무서운 분들 있잖아요. 걱정이 된다면 제조사별 고객센터에 문의해 보세요.

 

3. 뜨거운 물이 나오다가 안 나옴

뜨거운 물이 나오다가 안 나오는 것은 사용량이 온수 보관 용량보다 더 많아 나타나는 현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배관이나 수도관이 얼었거나 보일러가 고장 났다면 뜨거운 물이 안 나오거든요.

 

보통 보일러의 용량이 적거나 여러 명이 사용했을 경우에 안 나올 수 있어요. 동결이나 동파가 아니라 정말 다행이죠. 이런 경우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온수가 채워지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1시간에서 2시간 정도만 기다리세요. 만약, 지금 급하게 사용해야 한다면 냉수의 수압을 낮춰 조절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물론 이런 경우엔 물줄기가 약해지며 수압도 같이 낮아진다는 것은 기억하세요. 수도꼭지 잠그는 방향은 시계 방향입니다. 사용 후에 다시 원래대로 맞춰주세요. 아, 수도꼭지는 세면대 아래에 있어요.

 

 

4. 뜨거운 물이 안 나오고 미지근한 물이 나옴

뜨거운 물이 안나오고 미지근한 물이 나오는 상황은 앞에서 많이 사용해 온수 저장용량이 부족해 채워지는 과정일 수 있고, 누군가 또는 오류로 인해 온도조절 장치의 설정이 바뀌었을 수 있어요.

 

해결 방법은 보일러의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는 거예요. 보일러 본체 콘센트를 뽑았다가 1분 정도 뒤에 다시 연결해 주는 거예요. 그런데 보일러 주변에 세탁기나 다른 기구들이 있어 코드를 뽑기 어렵다면 온도조절장치에 리셋, 설정 초기화, 전원 버튼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만약 그런 버튼도 없다면 설정을 자동에서 수동으로 바꿔보세요.

 

설정이 끝났다면 약 10분 뒤 수도꼭지를 약간 뜨거운 물, 그러니까 가운데에서 약간 왼쪽으로 가도록 틀어주세요. 이때 꼭지를 완전히 개방하지 말고 반정도만 열어주는 거예요. 물이 볼펜 두께 정도 나오도록이요. 이렇게 1분 정도 틀어보세요. 평소보다 따뜻하지 않다면 20-30분 뒤에 다시 시도합니다.

 

미지근한 물이 나온다는 것은 보일러 고장도 아니고, 동결도 아니에요. 물론 날씨가 너무 추워 얼기 직전인 경우도 있어요. 이 부분은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이런 현상이 오래간다면 제조사 고객센터에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구분 전화번호
귀뚜라미 보일러 고객센터 1588-9000
경동 보일러 고객센터 1588-1144
대성 셀틱 보일러 AS 고객센터 1588-8577
린나이 서비스센터 AS 1544-3651

 

 

5. 집안 전체에 온수와 냉수가 안 나옴

집안 전체에 차가운 물과 뜨거운 물이 안 나온다는 것은 ①보일러의 온수관과 직수관이 모두 얼었거나 ②수도 계량기가 동파되어 물 공급이 차단된 것입니다.

 

먼저 수도 계량기를 먼저 확인합니다. 현관문 옆에 보면 양수기함 또는 수도 계량기함이라고 쓰인 박스가 보일 거예요. 이곳을 열어 물이 흘렀거나 얼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계량기가 동파되었다면 혼자 해결할 수 없어요. 거주하고 있는 '지역+수도사업소'로 검색해 신고하시면 됩니다.

 

만약 계량기가 동파되지 않았다면 보일러 배관이 모두 얼었다는 뜻으로 모두 녹여줘야 합니다. 보일러 배관은 스스로 녹지 않거든요. 녹여줘야 해요. 녹이는 방법은 수도 얼었을 때 언 수도관 녹이는 방법을 참고하세요.

 

 

6. 특정 구역에만 온수가 안 나옴

가정집의 메인 수도관은 화장실입니다. 현관과 가장 가까운 화장실이 메인이에요. 그리고 조금 더 떨어진 주방, 화장실로 이어지죠. 화장실, 주방, 베란다 등 특정 구역에만 안 나온다면 이유는 3가지입니다.

 

①특정 장소에 냉수와 온수 모두 안 나온다면 수도관이 얼었다는 뜻입니다. 사람을 불러야 해요. 이렇게 어는 이유는 그 부분이 냉기에 취약하다는 것으로 아파트보다는 상가 또는 빌라나 개인 주택등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얼지 않도록 관리하셔야 합니다.

 

②온수를 틀었는데 냉수가 나온다면 밸브를 확인해 보세요. 화장실은 세면대 아래, 주방은 싱크대 아래에 있습니다. 온수 밸브가 잠기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밸브는 시계 방향으로 잠그고, 반대 방향으로 풀면 됩니다.

 

③온수를 틀었는데 물이 전혀 안 나온다면 냉수를 확인하세요. 냉수도 안 나오면 수도관 동결, 냉수는 나온다면 보일러 배관 동결입니다. 이런 경우엔 집안 전체 온수가 안 나올 거예요. 위 방법 그대로 잘 녹여보시기 바랍니다.

 

 

7. 기타 상황

보일러는 난방관과 온수관이 따로 있거든요. 우리가 잘 때 추우니 난방을 돌리잖아요. 그래서 난방관은 잘 안 얼어요. 난방은 잘 되는데 온수가 안 나온다면 우선 녹여보세요.

 

그런데 이런 경우엔 온수와 난방을 변경해 주는 삼방 밸브가 고장인 경우도 있거든요. 자주 일어나는 일은 아니지만 녹여도 안된다면 점검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난방과 온수 모두 안된다면 보일러 아래에 있는 가스 밸브를 확인해 보세요. 그래도 안된다면 가스레인지를 켜봅니다. 점화가 안 되면 가스의 문제입니다. 도시가스 고객센터에 문의하세요.

 

 

보일러 온수 관리

보일러는 베란다에 있기 때문에 추운 날씨에 매우 취약해요. 배관이 얼지 않도록 잘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겨울이 지난 뒤 하지 말고 지금 당장 하세요. 내일도 추워질 수 있거든요.

 

 

보일러 AS 제조사별 고객센터 안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보일러는 귀뚜라미, 대성, 린나이, 경동 보일러 입니다. 각 보일러 제조사별 AS 고객센터와 에러코드를 준비했습니다. 문제가 발생할 경우 콜센터에 연락해 문

star8353.tistory.com

 

경동 보일러 고객센터│경동나비엔 AS 신청

경동 보일러 고객센터 경동나비엔 보일러 고객센터 및 AS 접수 안내입니다. 자가 진단으로 해결이 어렵거나 제품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AS센터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보일러 뜨거운물 안나

star8353.tistory.com

 

귀뚜라미 보일러 고객센터│AS

귀뚜라미 보일러 고객센터 귀뚜라미 보일러 고객센터 및 AS 접수 방법입니다. 어떤 문제가 발생하셨나요. 고객센터를 통해 AS 고장 접수, 모델별 자가진단뿐만 아니라 서비스센터, 제품 등록을

star8353.tistory.com

 

대성 셀틱 보일러 AS 고객센터

대성 셀틱 보일러 AS 대성 셀틱 보일러 AS 신청 방법입니다. 어떤 문제가 발생하셨나요. 대성 보일러 고객센터를 통해 고장 접수를 해주세요. AS접수 시 정확한 모델명과 증상을 설명하면 보다 나

star8353.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