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화장실 타일 깨짐 원인과 대처 방법

by ★★★★☆ 2022. 1. 17.

신축 아파트, 빌라뿐만 아니라 겨울철은 화장실 타일 깨짐 현상이 유독 심한 계절입니다. 건축 공법, 시공의 문제도 있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되는 타일이 깨지는 진짜 이유에 대해 준비했습니다.

 

화장실 타일 깨짐 현상

요즘의 건축물, 아파트, 빌라 등 타일이 있는 복도, 지하 주차장 입구, 화장실, 베란다 등을 두드려 본 적 있으신가요? 통통 소리가 나며 비어 있는 곳을 쉽게 발견할 수 있는데요. 이것 때문일까요? 겨울에는 타일 깨짐 현상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쿵, 콰광, 두두득"

 

큰 소리를 내며 깨지는 타일, 우리 집이 아니더라도 벽면을 통해 들리는 무서운 소리가 들려오는데요. 생각보다 큰 소리에 집이 무너지는 것이 아닌지 놀라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화장실에서 많이 발생되고 베란다, 세탁실, 실외기실 등에서 발생되는 타일이 깨지는 현상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어떠게 대처해야 할까요?

 

대처 방법과 발생 원인에 대해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화장실 타일 크랙 대처하기

화장실 타일 깨짐 현상을 흔히 크랙이라고 합니다. 크랙(Crack)의 뜻은 갈라지다, 금이 가다, 깨지다, 부서지다입니다. 만약 더 많은 정보를 찾고 싶다면 타일 깨짐 보다 타일 크랙이라 검색하면 조금 더 전문적인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여기에서도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우선 타일에 금이 가있었거나 조금씩 발생된 경우에는 큰 소리가 나지 않을 수 있지만, 부풀었거나 금이 있었던 것을 몰랐던 경우에는 한 번에 큰소리를 내며 깨지거나 떨어지기도 합니다. 이상한 소리가 난다면 유심히 잘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1. 신축 아파트

신축 아파트의 A/S 기간은 보통 2년입니다. 이 기간 동안 거주하며 발생된 하자는 대부분 무상으로 처리되는데요. 본인이 입주한 시점이 아닌 입주가 시작된 기간부터이기 때문에 이점은 미리 확인하시고 대처하셔야 합니다.

 

타일이 깨진 것을 발견했다면 추후 증빙자료로 만들기 위해 몇 가지 작업이 필요합니다. 우선 타일이 깨진 부분에 포스트잇, 종이 등을 붙인 후 날짜와 시간 등의 정보를 적어줍니다.

 

될 수 있으면 사진과 동영상을 모두 찍어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마트폰 등에 촬영 날짜와 시간, 장소 등이 기록되지만 조금 더 객관적인 증거를 남기고 싶다면 다른 휴대폰을 옆에 두고 같이 찍는 방법도 있는데요. 한번 발생된 크랙은 계속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상황이 변해가고 있다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임시방편으로 깨진 부위에 테이프를 붙일 수 있지만 말 그대로 임시이기 때문에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카페, 커뮤니티 등을 활용해 깨짐 현상이 다른 세대에서도 발생하는지 체크해 볼 필요가 있으며, 최대한 빨리 AS센터, 관리사무실 등에 제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자보수는 빠르고, 자주, 많이 요청되는 건일 수록 보수가 빨라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2. 구축 아파트

구축이라고 표현했지만 2년이 지난 신축 아파트 또는 더 오래된 아파트의 경우는 조금 다릅니다. 우선 무상 A/S가 지났기 때문인데요.

 

AS기간은 지났지만 비교적 기간이 짧은 신축의 경우 다수의 세대가 발생되어 시공사에서 책임을 지지 않는 경우 단체 소송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볼 수 있지만 입주자 대표, 동대표, 관리사무소, 시공사, 지자체 등의 협의와 시공에 문제가 있다는 자료 등을 국토부를 통해 증명할 경우 보수가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시간이 오래 지난 아파트의 경우 타일 깨짐 현상은 어떠한 도움을 받을 수 없는데요.

 

아래에 나올 원인 중 하나라도 증명이 어렵고 기간이 지났기에 새롭게 시공해야 합니다. 세입자의 경우 보통 집주인과 협의를 통해 해결해야 하고요. 타일이 깨진 것은 중대 하자로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원만히 해결해야 합니다. 단, 입주하기 직전, 초기일 경우는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만약 인테리어 공사를 했다면 해당 타일을 미리 한 박스 정도 구입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같은 색상, 크기, 모양의 타일은 구하기 어렵고 단체, 신축 건물 등에 사용된 타일은 납품 전용이기에 시중에 판매하지 않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화장실 타일 깨짐 원인

타일이 깨지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추운 겨울 중 12월, 1월은 다른 달에 비해 화장실 타일 깨짐 현상이 많이 일어나는 시기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추운 날씨, 온도 차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하는데요. 날씨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건물 외부, 외벽 등의 온도, 습도차로 인해 발생
  2. 타일 부착 모르타르(몰탈, 타일 밥)의 점착성 부족 또는 양 부족
  3. 벽면의 벽돌에서 크랙이 발생
  4. 일부 타일 탈락 현상으로 전체의 타일이 한 방향으로 쏠림
  5. 구조적으로 벽면이 견딜 수 없는 정도의 하중
  6. 지하철, 기차역, 지하 공사 등으로 인한 미세한 진동 

원인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서 떠발이, 모르타르(몰탈, 타일 밥)에 대해 알아야 하는데요. 타일을 벽면에 붙이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몰탈, 모르타르, 타일 밥이라고 부릅니다.

 

화장실 타일을 두드려보면 묵직해 꽉 찬 부분이 있고 가볍고 비어 있는 공간을 찾을 수 있는데, 통통통 소리가 나는 곳은 위에 말한 타일 밥에 들어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런 방식을 떠발이라고 부릅니다.

 

떠발이 시공은 적은 비용으로 화장실 공사를 마감하는 방법으로 유독 우리나라에서 허용, 적용되는 방법입니다. 업계 전문가에 따르면 거의 대부분의 건물 99%는 이 방식으로 한다고 하죠. 벽면을 완전히 채우는 것이 아니라 드문 드문 붙이게 되는데 이 시공이 화장실 타일이 깨지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접착되지 않은 부분의 안쪽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온도, 습도 등으로 인해 탈락하거나 밖으로도 크랙이 나타난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완전히 꽉 채우면 되는 것 아닌가?라고 생각할 텐데요.

 

맞습니다. 하지만 공사는 하루, 시간, 재료 등이 모두 돈입니다. 날짜가 늘어날수록 비용은 계속 늘어나게 되는데요. 이런 시공은 돈을 아끼기 위한 것도 있지만 대충, 상식 이하의 시공자들도 있다는 것이 시공업체의 목소리이기도 합니다.

 

아파트, 빌라 등의 경우 현장에서 모래와 시멘트를 배합해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과 모래 시멘트 등을 잘 혼합해야 하는데 혼합량 등 배합이 잘못된 경우 점착성이 부족해 발생하기도 하며 실수, 능력, 비용 등을 위해 양을 적게 바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들뜨거나 깨지는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죠.

 

구조적으로 벽면이 견디기 어려운, 버거운 장소일 경우에도 발생되며 부실시공 등의 복합적인 원인이 있을 경우 겨울이 아니더라도 깨지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합니다. 또한 기차, 지하철이 다니거나 지하 공사, 공사장 등이 주변에 있을 경우(이 때는 타일뿐만 아니라 벽면이)에도 발생되며 신축은 지리적인 조건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습니다.

 

타일 시공 보수

화장실 벽면(겉면)은 멀쩡하지만 안쪽 보이지 않는 부분에 발생되어 있기도 하며 금이 간 것을 눈치채지 못하고 생활할 수 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타일 전체의 하중이 아래로 쏠려 부풀어(배부름 현상, 불룩 튀어나오는) 오르거나 갑자기 큰 소리를 내며 무너질 수 있습니다.

 

만약 부풀어 오른 상태를 발견했을 경우 해당 화장실 사용은 주의해야 합니다. 순간적으로 내려앉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접촉 시 떨어져 나가며 깨지거나 무너져 내릴 수 있기 때문에 강하게 두드리거나 떼어내거나 자체 수리 등은 하지 않도록 합니다.

 

화장실 타일이 깨졌을 경우 해당 부분만 시공하는 것은 힘들 수 있습니다. 대부분 전체 벽면 주변의 타일까지 모두 새롭게 시공해야 하는데요. 시간과 비용도 만만치 않을 수 있습니다. 

타일 깨짐

인터넷에서는 타일을 보수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볼 수 있는데요. 줄눈, 보강제, 접착제, 타일 테이프 등으로 보수하는 방법이지만 이 방법은 임시방편이라는 점 꼭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하자보수가 가능하다면 최대한 빠르게 접수하고 기간이 지났다면 해결방법을 강구하거나 수리하는 것이 가장 안전할 수 있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절기 유래와 시기  (0) 2022.01.24
손에 순간접착제 지우는법 10가지  (0) 2022.01.17
숫자 단위 억조경 다음은?  (0) 2022.01.14
유실물법 분실물 습득 보상금  (0) 2022.01.13

댓글